공통사항 ANDA이면서 B인것.예) 회원이 맞으면서 AND 총 세션수 (방문 수)가 50이 넘는 고객 ⇒ 우리 홈페이지 충성고객! ORA이든지 B이든지 C이든지, 그 중 하나라도 해당되는 것.예) 봄신상을 검색한 고객 OR 봄옷을 검색한 고객 ⇒ 봄신상에 관련한 정보를 보내면 좋아할 고객 다음과 일치입력한 내용과 정확히 일치해야 합니다. 예) 홍길동 ⇒ '홍길동'만 선택됩니다. 홍길동맨, 김홍길동 은 선택되지 않습니다. 다음과 일치하지 않음입력한 내용과 정확히 일치하는 내용을 제외합니다. 예) 홍길동 ⇒ '홍길동'이 아닌 모든 것이 선택됩니다. 주의할 점은 김홍길동, 최홍길동, 홍길동홍 등 홍길동을 포함하는 결과도 선택됩니다. 다음을 포함입력한 내용을 포함하는 결과를 선택합니다. 예) 홍길동 ⇒ 홍길동을 포함한 모든 내용이 선택됩니다. 예) 홍길동, 김홍길동, 최홍길동 등 홍길동이 들어간 모든 이름이 선택됩니다. 다음을 포함하지 않음입력한 내용을 포함하지 않는 모든 결과를 선택합니다. 예) 홍길동 ⇒ '홍길동' 이 포함된 어떤것도 선택되지 않습니다. 김홍길동 ,최홍길동 등 홍길동이 포함된 사람도 선택되지 않습니다. 값이 있는검색할 수 있는 어떠한 값이 있는 사람들만 선택됩니다. 핸드폰 번호 ⇒ 값이 있음 으로 검색하시면 핸드폰 번호가 있는 고객만 선택됩니다. 값이 없는해당 란에 정보가 없는 사람들이 검색됩니다. 다만, 0과 값이 없음 은 다릅니다! 적립금으로 예를 들어 드릴게요.두 사람이 있어요. 한명은 적립금이 아예 값이 없고, 다른 한명은 적립금이 0원입니다. 둘다 현재 가진 적립금은 없는거죠. 하지만 후자의 적립금이 0원인 사람은 이전에 10,000원이 있다가 소진해서 0원이 된 것일 수도 있죠? 따라서 적립금이 없는 사람을 필터링을 한다고 하면 적립금 → 0과 일치 OR 값이 없음 두가지를 설정해주셔야합니다! 마케팅 기능 설정 대상고객'누가'메세지를 받거나 받지 않을 것인지, 대상을 선택하는 단계입니다. 아래의 필터설정하기 항목을 참조해주세요. 시작이벤트고객이 어떤 행동을 하면 메세지를 보낼 것 인가를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가장 기본으로는 Pageview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PageView를 활용하면 특정 페이지(URL주소)를 타겟하여 전송할 수 있습니다. 구글 태그매니저(GTM)을 활용하시면 이벤트를 감지하여 메세지를 보내는 것도 가능합니다. 채널톡에 태그매니저 활용하는 방법은 여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채널톡과 시너지 폭발! GTM을 소개합니다.기본 PageView + 아무조건에서나 → 홈페이지의 어느 페이지를 보든 실행됩니다.URL 에 order_result 라는 단어가 포함되어있으면 실행됩니다. 보통 구매완료 페이지에는 order_result, order_complete 같은 단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타겟팅 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URL에 키워드가 있는지 살펴보세요. 대기시간고객이 시작조건 이후 얼마나 시간이 지났을 때 메세지를 받을 것인 가를 설정하는 단계입니다.홈페이지에서 보이길 원한다면 즉시 또는 분 단위를 활용해보세요.홈페이지를 둘러보고 떠난 고객에게 문자/이메일 발송을 원하면 3일뒤, 7일뒤 등 다양한 대기시간을 설정해보세요. 장바구니에 있는 물건을 알려주거나, 관심있어할 만한 이벤트 소식을 전달하는 것도 좋습니다. 추가 이벤트 필터추가 이벤트 필터는 대기시간을 기다리는 동안 어떤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또는 안했는지를 대기시간이 끝나고 나면 체크해서 발송여부를 결정합니다. 대기시간이 즉시라면 설정할 수 없습니다. 운영 서포트봇으로 이어지게보낸 마케팅 메세지를 통해 상담으로 바로 연결해 매출로 연결하고 싶다면 이 기능을 꺼주세요. 설정된 서포트봇이 있어야 노출이 됩니다. 서포트봇이 여러개라면 서포트봇의 필터링에 따라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서포트봇이 노출됩니다. 비공개 된 서포트봇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캠페인 반복주기캠페인 메세지를 한명의 고객이 얼마나 자주 받을 지를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하루에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는 횟수는 1회입니다. 스케쥴링캠페인의 시작일과 종료일을 미리 설정해 둘 수 있습니다. 고객은 종료일 이후에도 사서함에서 받아봤던 메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송 요일 및 시간 설정요일 및 시간을 설정하면 전송 가능한 시간에 메시지를 전송합니다. 설정 외 시간이라면 전송 가능한 시간까지 기다렸다가 전송합니다. 환영메세지와 같이 대기시간이 '즉시' 인 경우라면 24시간 아무때나, 대기시간 3일 등의 설정이 있다면 야간 발송을 막기 위해 운영시간일 때, 혹은 특정시간에 발송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오프라인 고객에게 마케팅 전송하기이 기능을 켜두시면 고객이 홈페이지를 떠났어도 문자/이메일 등으로 메세지를 발송합니다. 방문 후 다시 찾아주지 않는 고객을 부르는 마케팅이라면 이 기능을 켜주세요.홈페이지 내에서 보여져야 하는 환영인사 등의 캠페인에서는 이 기능을 꺼주셔도 좋습니다. 목표내가 보낸 마케팅 메세지가 효과적이었는지 '목표달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작조건과 같이 메세지를 받았던 고객들의 행동을 추적합니다. 보통은 결제완료 페이지의 URL을 삽입하거나 빌더사의 경우 구매 이벤트(Purchase, OrderComplete 등)를 통해 구매 전환율을 체크하는데 사용합니다.review가 포함된 페이지 url 또는 order_result라는 단어가 포함된 페이지 url 을 고객이 보면 목표달성!필터 설정하기 / 필터링세션이란?사이트 또는 앱에서 사용자가 활동한 시간입니다. 기본 설정에서는 사용자가 30분 이상 어떤 행동도 하지 않은 경우 이후에 발생한 모든 활동을 새로운 세션으로 간주합니다. 사용자가 사이트를 떠났다가 30분 내에 다시 어떤 행동을 하면 해당 방문은 원래 세션의 일부로 기록됩니다. 즉, 방문과 유사한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만 고객이 방문해서 활동하다가 30분이 넘게 아무런 활동도 하지 않는다면 나간것으로 간주합니다. 이 때 세션은 끝나게 되고, 그 후에 방문하면 세션이 +1이 되겠죠!OrderComplete 등)를 통해 구매 전환율을 체크하는데 사용합니다.review가 포함된 페이지 url 또는 order_result라는 단어가 포함된 페이지 url 을 고객이 보면 목표달성! 필터 설정하기 / 필터링 세션이란?사이트 또는 앱에서 사용자가 활동한 시간입니다. 기본 설정에서는 사용자가 30분 이상 어떤 행동도 하지 않은 경우 이후에 발생한 모든 활동을 새로운 세션으로 간주합니다. 사용자가 사이트를 떠났다가 30분 내에 다시 어떤 행동을 하면 해당 방문은 원래 세션의 일부로 기록됩니다. 즉, 방문과 유사한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만 고객이 방문해서 활동하다가 30분이 넘게 아무런 활동도 하지 않는다면 나간것으로 간주합니다. 이 때 세션은 끝나게 되고, 그 후에 방문하면 세션이 +1이 되겠죠!하지만 이런 세션에도 예외는 있습니다. 세션은 매일 밤 12시에 갱신됩니다. 따라서 11시 59분에 방문한 사람이라면 12시가 넘어가는 순간 세션이 2가 되는거죠! UTM이란?"UTM"은 "Urchin Tracking Module"의 약자로 웹사이트 주소 뒤에 붙어 유용한 정보를 전달해줍니다. GA(구글애널리틱스)를 활용한 마케팅을 하고 계시다면 UTM파라미터 로 불리는 다음의 5가지 종류를 채널톡에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UTM Source : 유입이 어디에서 발생하였는지, 예) Google, Facebook, InstagramUTM Medium : 유입이 어떤 방법으로 발생하였는지, 예) Email, Banner, BlogUTM Campaign : 유입이 어떤 캠페인으로 발생하였는지, 예) spring_new(봄신상), umbrella_event(우산 이벤트) 등UTM Term : 유입이 어떤 키워드에 의해 발생하였는지, 예)채팅상담, 봄신상, 우산이벤트UTM Content : 유입이 어떤 내용을 가진 광고/포스팅에서 발생하였는지, 예) discount(할인), delivery(배송)결과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모양으로 표현이 되겠죠.https://www.example.com/?utm_source=summer-mailer&utm_medium=email&utm_campaign=summer-sale&utm_term=봄신상&utm_content=discount 지금 활용해 보고 싶다면 구글 애널리틱스를 이곳에서 확인해주세요. 국가채널톡은 국가를 2자리 알파벳 코드로 표기합니다. 친절하게 옆에 표기되고 있죠!국가 코드 알파벳 2자리 참조 : http://stat.kita.net/stat/kts/statCode/CtrConCodeList.screen 언어채널톡은 2자리 알파벳으로 된 ISO 639-1 언어코드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어떤 언어인지 표기되니까몰라도 괜찮습니다.참조 : https://ko.wikipedia.org/wiki/ISO_639-1_코드_목록 최초 접속 시간해당 유저가 홈페이지에 최초로 접속한 시간 (채널톡이 설치된 시점을 기준으로) 입니다. 최근 수정 시간해당 유저에 대한 정보가 (접속, 회원정보 등) 수정이 된 시간, 상담원이 정보를 수정해도 수정시간이 바뀌게됩니다. 최근 접속 시간순수하게 고객이 최근 접속했던 시간입니다. 이를 기준으로 우리홈페이지에 오랫동안 방문하지 않은 사람을 타겟팅 하여 메세지를 보낼 수 있습니다. 역으로 최근에 방문했던 고객에게만 메세지를 보내는 것도 가능하겠죠! 이름이름이 뭔지 모르는 분은 없을거예요. 아마 이걸 찾고 계셨을 것 같네요.이름을 검색하는 단편적인 예시입니다. 다음과 일치입력한 내용과 정확히 일치해야 합니다. 예) 홍길동 ⇒ '홍길동'만 선택됩니다. 다음과 일치하지 않음입력한 내용과 정확히 일치하는 내용을 제외합니다. 예) 홍길동 ⇒ '홍길동'이 아닌 모든것이 선택됩니다. 주의할 점은 김홍길동, 최홍길동, 홍길동홍 등 홍길동을 포함하는 결과도 선택됩니다. 다음을 포함입력한 내용을 포함하는 결과를 선택합니다. 예) 홍길동 ⇒ 홍길동을 포함한 모든 내용이 선택됩니다. 예) 홍길동, 김홍길동, 최홍길동 등 홍길동이 들어간 모든 이름이 선택됩니다. 다음을 포함하지 않음입력한 내용을 포함하지 않는 모든 결과를 선택합니다. 예) 홍길동 ⇒ '홍길동' 이 포함된 어떤것도 선택되지 않습니다. 즉, 홍길동이라는 글자가 들어간 사람을 제외하고 모든 사람이 선택됩니다. 고객 태그고객태그 기능으로 더 빈틈없는 고객관리군인, 단골고객, 지인할인, 고양이_집사 등 고객에게 태그를 달아 고객의 특성을 관리해보세요. 고객정보에 태그를 달아두면 공통된 태그가 있는 고객들을 쉽게 구분해서 메세지를 보낼 수 있습니다.•유저챗과 고객프로필, 고객 연락처 모두에서 고객 태그 관리가 가능합니다.•고객태그를 여러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고객태그를 세그먼트로 저장해서 더욱 편하게 메세지를 보내보세요. 회원 유무회원정보 연동을 해 두셨다면, 해당 고객이 회원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습니다. 푸시토큰 유무앱 SDK가 있다면 사용이 가능하고, 아니라면 필요없습니다. 고객에게 앱에서 푸시로 메세지를 보내고 싶을 때 사용하시면 됩니다. 푸시토큰이 있는 고객에게는 앱에서 푸시를 보낼 수 있으니까요! 수신 거부됨수신 거부 된 사람의 목록입니다. 참고로 수신거부는 고객 프로필과 유저챗의 고객정보에서 처리가 가능합니다. 고객 스스로도 채널톡 우측 상단의 설정버튼을 눌러 마케팅 메세지 수신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api로 수신거부 연동하기 채널톡 api 문서 → https://api-doc.channel.io 총 세션 수앱, 모바일, PC 환경에서의 모든 세션을 합한 숫자를 보여줍니다. 앱 SDKSDK는 Software Development Kit의 약자로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 기술자가 사용할 수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음을 말합니다. 앱 SDK의 경우 자사앱에 설치하여 채널톡 버튼 설치 및 푸시메세지를 보낼 수 있게 됩니다.필요한 환경에 맞는 sdk를 설치해서 채널톡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개발자)들은 이 sdk를 받아서 설치 한 후 사용합니다. 설치방법은 sdk에 따라 다양합니다. (https://developers.channel.io/docs) IP 주소고객이 고유하게 가지는 인터넷의 '주소'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여러자리 숫자와 점으로 표기됩니다. 참고로 채널톡이 위치를 제공하는 기반도 이 IP주소에 따릅니다. Device 디바이스PC(컴퓨터), 휴대전화 등 사용하는 기기를 말합니다 Referrer고객이 채널톡으로 유입되기 전 어떤 페이지를 거쳤는지 보여줍니다. 항상 보여지는 것은 아닙니다. OS운영체제를 뜻해요. 크게 마이크로소프트의 Windows와 애플의 Mac OS가 있어요. Browser 브라우저인터넷 익스플로러, IE, 구글 크롬, 사파리, 파이어폭스 등이 있습니다. 채널톡은 크롬을 권장드립니다! 그 밖에 알아두면 좋은 것들 스크립트채널톡을 설치하실 때 필요한 코드를 의미합니다. 채널톡 관리자 화면 좌측 하단의 ⚙️ 채널설정 > 채팅 설치 및 설정 > 채널톡 버튼 설치 란에서 설치 스크립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Body>홈페이지라는 놈을 구성하는데는 html이라는 녀석이 필요합니다. 대충 그려보자면 이렇게 생겼어요. 채널톡 설치 스크립트는 <body> 밑 어딘가에 넣어주면 됩니다. 가능한 상단에 넣어주세요.<!DOCTYPE html> <html> <body 여기에 무언가가 들어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어요 >←——여기에 채널톡 스크립트를 삽입하면 됩니다 ——→홈페이지에 들어있는 내용 및 여러여러 동작</body> </html>만약 html 문서에 접근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개발자를 불러주세요 🍮Plugin (플러그인)채널톡 내에서는 홈페이지의 채널톡 버튼이라 생각하시면 간단합니다. 빌더사다음과 같이 홈페이지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를 지칭합니다.•카페24•아임웹•고도몰•식스샵•메이크샵•가비아•페라이치•워드프레스•Wix 세그먼트마케팅에서 세그먼트는 비슷한 성격을 가진 사람들의 그룹을 말해요. 캠페인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세분화 해 두면 좋겠죠. 예를 들면 우리 홈페이지를 자주 방문한 고객이라면 'VIP', 회원가입을 해두고 60일간 방문하지 않은 고객이라면 '붙잡아야 할 고객' 등으로 자유롭게 세그먼트를 설정해보세요. 이벤트'고객의 행동'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예컨대 Pageview는 홈페이지를 조회하는 행동 = 이벤트입니다. 이를 여러가지 추가하시는 방법은 아래의 문서를 참조해주세요! (구글태그매니저를 사용하실 경우 가능합니다.)채널톡과 시너지 폭발! GTM을 소개합니다. → 바로가기GTM으로 채널톡 마케팅 실전 활용하기 → 바로가기 트리거채널톡 유저챗 안에서의 트리거는 채팅이 어떤 캠페인 메세지를 받아, 혹은 어떤 서포트봇을 통해 시작되었는지를 표기합니다. A/B테스트A/B테스트는 말 그대로 A와 B. 둘 중에 어떤게 더 좋을까 테스트 하는 것을 뜻해요.같은 목적의 캠페인이더라도 메세지를 서로 다르게 구성해서 어떤 메세지가 더욱 효과적인지 실험해 볼 수 있습니다. 예컨대, A에는 이미지 삽입과 전체화면 모드, B에는 텍스트와 버블만을 사용해 어떤 것이 고객들에게 더 인기가 좋은지 확인할 수 있겠죠? 하나의 캠페인 안에서 여러가지 다른 메세지를 실험하세요. GA(구글애널리틱스)비즈니스를 위한 애널리틱스 도구 및 솔루션 - Google 애널리틱스Google 애널리틱스는 고객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필요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분석한 비즈니스 통계를 바탕으로 웹사이트를 개선하고 맞춤 잠재고객 목록을 생성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https://marketingplatform.google.com/intl/ko/about/analytics/전 세계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데이터 분석 툴 입니다. 전문적으로 마케팅을 시작해보고 싶다면 꼭 사용해야 할 기능입니다. 방문자 유입, 광고 관리, 고객 분석등을 하실 수 있습니다. GTM구글 태그 매니저, 구글 태그 관리자의 준말입니다. 자세한 사항이 궁금하시면 아래의 문서를 순서대로 참조해주세요!채널톡과 시너지 폭발! GTM을 소개합니다.GTM으로 채널톡 마케팅 실전 활용하기 출처: 채널톡